この曲は、映画『滲むアイリス』のために書き下ろした曲です。
目が見えなくても絵を描き続ける女の子と、
何度も美大を受けながらも自分のやりたいことが見えなくなった男の子が、
海辺で静かに会話を交わす物語。
大きな事件や派手な展開はないけれど、
その静かなやり取りの中で、心の奥が揺さぶられるような感覚がありました。
彼らはまったく違う存在に見えるかもしれませんが、
どちらも「見えないもの」と向き合っています。
視力を失っても描き続ける女の子と、
見えているのに未来や自分の姿が見えなくなっている男の子。
曲に登場する“ブルー”は、
単なる悲しみや落ち込みではなく、
誠実で深く、静かだけど不安定な感情の色です。
海のように広がって、波のように揺れている感覚。
タイトルの「アイリス」には、英語で「虹」という意味があります。
同時に「瞳」や「光を受け取る場所」という意味も含みます。
また、漢字の「虹」の中の「工」が、アルファベットの“I(アイ)」に見えたとき、
「自分=I」が虹の一部になるイメージが自然に浮かびました。
「ブルーしか持っていなくても、それで描いていく」
「未来が見えなくても、自分の色を重ねていく」
そんな想いを込めた曲です。
「描き続けること」には、完璧である必要はなく、
ぐちゃぐちゃになってもいい。
それでも進みたい、輝きたいという切実な願いを込めました。
映画の登場人物だけでなく、
今まさに見えない何かと闘っているすべての人に届いてほしい歌です。
聴いてくれる人が、自分のままの色で虹を描けるように。
そんな願いを込めています。
This song was originally written for a film,
but it quickly became a song I needed for myself as well.
The film tells the quiet story of a girl who keeps painting even though she’s lost her sight,
and a boy who keeps reapplying to art school but feels lost about what he truly wants.
They have calm, simple conversations by the sea.
There’s no big event or dramatic moment,
but their quiet interaction stirs something deep in the heart.
They seem completely different,
yet both are facing things they cannot see.
She keeps painting despite losing her vision,
and he can see but feels like he can’t see his future or even who he really is.
That felt deeply personal to me.
The “blue” in this song isn’t just sadness or gloom.
It’s an honest, deep, quiet, yet unstable color of feeling—
something that spreads wide like the sea and ripples like waves.
The word “Iris” in the title means “rainbow” in English.
It also means “the colored part of the eye” or “the place that receives light.”
And when I noticed that the kanji for rainbow (虹) contains a part that looks like the letter “I,”
I imagined the self (“I”) becoming part of the rainbow.
Even if all you have is blue, that’s enough to keep drawing.
Even if the future is unclear, layering your own colors is what matters.
To keep drawing doesn’t mean to be perfect.
It means it’s okay to be messy, to struggle,
but still wanting to move forward and shine.
That’s the sincere wish behind this song.
This song is not just for the characters in the film,
but for anyone out there fighting through something unseen right now.
My hope is that everyone who listens can draw their own rainbow
with the colors they have inside themselves.
이 곡은 원래 영화 때문에 쓴 곡이었지만,
결국 내 자신을 위한 노래가 되었습니다.
이 영화는 시력을 잃었지만 그림 그리기를 멈추지 않는 소녀와,
무엇을 하고 싶은지 모르는 채 여러 번 미대에 도전하는 소년이
바닷가에서 조용히 이야기를 나누는 이야기입니다.
크게 사건이 일어나거나 극적인 장면은 없지만,
그들의 조용한 대화 속에서 마음 깊은 곳이 울리는 느낌이 있었어요.
두 사람은 전혀 다르게 보이지만,
둘 다 ‘보이지 않는 것’과 마주하고 있습니다.
시력을 잃었지만 계속 그림을 그리는 그녀와,
보이지만 미래나 자신의 모습을 보지 못하는 그.
그 모습이 제 자신과도 많이 닮아 있었어요.
노래 속의 ‘블루’는 단순한 슬픔이나 우울함이 아니라,
정직하고 깊고 조용하지만 불안정한 감정의 색입니다.
바다처럼 넓게 퍼지고, 파도처럼 흔들리는 그런 느낌이죠.
‘아이리스(Iris)’라는 말은 영어로 ‘무지개’라는 뜻이고,
눈동자, 빛을 받아들이는 장소를 뜻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일본어 한자 ‘虹’ 안에 알파벳 ‘I’처럼 보이는 부분이 있어,
‘나(I)’가 무지개의 일부가 되는 상상을 하게 됐습니다.
‘파랑(블루)’밖에 없더라도 그걸로 계속 그려 나가면 되고,
미래가 불투명해도 나만의 색을 덧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입니다.
계속 그린다는 것은 완벽함을 의미하지 않고,
손이 엉망이 돼도 괜찮고,
그래도 앞으로 나아가고 싶고 빛나고 싶다는 간절한 마음입니다.
이 노래는 영화 속 인물뿐 아니라,
지금 보이지 않는 무언가와 싸우고 있는 모든 사람에게 닿았으면 좋겠습니다.
듣는 모두가 자신의 색으로 자신만의 무지개를 그릴 수 있길 바랍니다.